레코딩이란?
사람이 하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행동을 자동으로 액티비티, 워크플로우로 변환해준다.
종류에는 기본, 데스크톱, 웹, 이미지, Native Citrix, Computer Vision이 있다.
레코딩을 사용하면 액티비티를 하나하나 찾을 필요가 없고 레코딩 후 따로 추가나 수정 작업이 가능하다.
단점은 조건문이나 반복문을 사용할 수 없고 예외처리를 따로 해야 한다.

기본 - 단일 작업일 때 주로 사용한다.
데스트톱 - 둘 이상의 작업일 때 사용한다. Attach Window 액티비티 안에서 진행한다.
웹 - 웹브라우저에서 진행한다. Attach browser 액티비티 안에서 진행한다.
이미지 - 이미지를 찾아 작업하는 방식일 때 사용한다. 주로 selector사 잡히지 않는 작업일 때 사용한다.
Native Citrix - 가상 환경에 있는 프로그램을 작업할 때 사용한다.
레코딩 직접 사용해보기
1. 웹 레코딩 선택

2. 브라우저 열기 - 브라우저 열기 선택 후 네이버 인터넷 창을 클릭한다.

3. URL 제대로 입력됐는지 확인 후 확인을 클릭한다.

4. 레코드 버튼을 누른 후 차례대로 네이버 창의 '뉴스' 클릭 - 'IT/과학' 클릭 - 'IT 일반'을 클릭한다.
그리고 웹 레코딩의 저장 및 종료 버튼을 사용해 레코딩을 종료하면 아래처럼 레코딩이 완료된다.

5. 파일 디버그를 사용해서 제대로 작동이 되는지 확인한다.

이렇게 간단하게 클릭 몇 번으로 레코딩을 저장할 수 있다!
내가 보려고 정리함
'IT수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iPath 스크래핑으로 뉴스 크롤링하고 엑셀로 저장하기 (0) | 2020.09.20 |
---|---|
UiPath 개발 시작하기/ Flowchart와 Sequence (0) | 2020.09.20 |
RPA 솔루션 UiPath 소개 및 무료버전 다운로드 방법 (0) | 2020.09.20 |
RPA란 무엇일까? 간단한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(0) | 2020.09.20 |
댓글